|
지구로부터 127광년 떨어진 곳에 태양과 같은 항성이 행성 7개를 거느린 태양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외계행성 하나가 아닌 행성들의 무리인 태양계가 발견되자 천문학계는 “외계행성 연구가 시작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발견”라고 흥분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정부 간 천문연구기관인 유럽남부천문대(ESO)는 최근 “지구로부터 127광년 떨어진 물뱀자리에서 모항성과 그 주변을 도는 행성 7개가 도는 태양계를 발견했다.”고 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에서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지난 6년 간 실시한 중력워블(궤도회전축 불인치로 나타나는 현상) 컴퓨터 계산으로, 모항성인 HD 10180의 궤도를 도는 행성 5개를 찾아냈으며 또 다른 행성 2개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포착했다. 지구가 포함된 우리의 태양계는 8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
행성 5개는 해왕성과 비슷한 질량으로 지구의 13~15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모항성과의 거리가 태양과 지구의 거리에 0.06~1.4배로 매우 짧거나 약간 길기 때문에 행성들의 공전주기는 6~600일 정도일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두 개 중 하나는 질량이 지구의 65배에 달하는 토성과 비슷한 행성일 것으로 보이며 다른 하나는 지구의 1.4배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 만약 존재가 확인될 경우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가벼운 것으로 기록된다.
그러나 물뱀자리에서 태양 역할을 하는 항성 HD 10180 주위의 행성들은 너무 크거나 표면이 뜨거워서 생명체가 존재할 만한 곳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를 이끈 제네바 대학의 크리스토프 로비스 박사는 “외계행성 하나가 아닌 행성들의 무리인 태양계가 발견됐다는 건 외계행성 연구가 복잡한 태양계를 연구하는 단계로 한 단계 진화했다는 걸 뜻한다.”고 이번 연구결과의 의미를 풀이했다.
사진=지구가 포함된 우리의 태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