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의 경험
어떤 시인이나 소설가들은 별것도 아닌 경험을 하고 근사한 것으로 포장을 해서
자기가 마치 뭘 한 것처럼 작품을 써냅니다.
반면 인생이 기가 막히게 진달래 향내음 으로 삼천리 강산을 진동시키고도
남을 만큼 뼈아픈 경험을 하고
살면서도 시 한 편 못쓰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꽃 한 송이를 보고서도
그 마저도 시로써 못 피워내고고 글 한 줄 못 쓰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은 경험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경험이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삶은 험증적 요소가 필요하겠지요
선험적 체험&활용
"우리의 몸은 시간의 한 정점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고,
우리의 마음은 공간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다."라고.
혹자는 말한다
인간의 수가 건강하면 70이요 장수하면 80이라 했던 다윗의 말처럼 백년도 못 사는데,
어찌 오백 년 전의 일이라든지 이천 년 전의 일이나 앞으로 천년 후의 일을 생각할 수 있고 알 수 있겠는가,
그래서 인류가 쌓아온 지혜 같은 것을 토대로(근간으로 삼아)삼고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배우고 익히며 실제 자신의 삶 한 부분에 접목시켜 체험해 볼 수 있는데
이를 두고 선험적 체험이라 한다.자신의 실제 삶을 통하여 검증 되어지며
이를 또다시 후학들에게 전이되는것이
곧 선험적 지헤와 경험의 요쇼가 되는것이다,
유태인들이 인생의 경전으로 삼는 탈무드가 인성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것도 이때문이다,
책을 읽는 것은 우리가 간접 체험을 하는 것이고,
시공을 통해서 얻지 못하는 것을 얻을 수도 체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상할 수도 있다.
이를 두고 혹자들은 선험(先驗)이라고 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