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안의 언덕& 행복이 있다/천상유희

'관얼다이(官二代)'

선인풍류 2014. 8. 24. 21:43

사람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일들이 어디 한두 가지이겠습니까 마는

자식 농사처럼 맘대로 안되는 일이 또 있을까요?

 흔히들 아버지와 아들 간 조합의 유형으로 네 가지를 들고 있습니다.

첫째, 호부호자(虎父虎子)! 호랑이 같은 아버지에 역시 호랑이 같은 아들,

다시 말해 아버지도 훌륭하고 아들도 잘난 한마디로 '부전자전'의 유형입니다.

모든 가정이 그토록 원하는 이상적인 부자 관계로 가문의 영광이기도 합니다.

 

둘째, 호부견자(虎父犬子)! 아버지는 호랑이인데 아들은 개, 즉 아버지는 뛰어난데
자식은 형편없는 한마디로 자식 농사 망친 경우입니다.

 

셋째, 견부호자(犬父虎子)! 아비는 천하의 망나니인데 자식은 폭풍처럼 훌륭히 성장한,

이른바 개천에서 용 난 경우입니다.

 

넷째, 견부견자(犬父犬子)! 피는 못 속인다구 작게는

한 가정의 불행이자 크게는 사회의 암적인 존재가 대물림된 경우를 일컫습니다.

우리 사회로 보자면 '호부호자'의 사례가 많으면 좋으련만

그 확률은 높지 않고 안타깝게도 언론이나 인구에 자주 회자되기로는

'호부견자'의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은 게 사실입니다.

"그 집 양반 밖에서는 그렇게 잘나가더니 자식 농사는 망쳤더라"며

고소해하는 인간 세상의 원초적인 질투심을 충족시키는데다

요즘처럼 외동이 많고 피붙이 애지중지하다 못해 망치기 십상인 시대에

아들들을 올곧게 키워내기가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아무튼 요즘 한국에서 사고 친 아들 탓에 고개 숙인 사회지도층 아버지들의 소식이

잇따라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남경필 경기지사나 정몽준 서울시장 후보의 사례 말고도 두 번이나 대권 목전에서 고배를 든

이회창 전 총재 역시 아들들 문제로 발목이 잡힌 경우입니다.
이밖에도 아들들의 병역이나 국적 문제 등으로 낙마한 인사청문회 대상자들이 어디 한둘이었습니까?

물 건너 중국 CCTV에서도 아들의 병영 폭력 문제로 머리 숙여 사죄하는

남경필 지사의 모습을 주요 뉴스로 전하며 '관얼다이(官二代)' 의 전형적인 폐해라고 꼬집었습니다.

 '관얼다이'는 아시다시피 아버지의 권력을 등에 업고 그

 아들이 사회적으로 지탄 받아 마땅한 행위를 저지른 경우를 일컫는 중국의 관용어입니다.

CCTV를 포함해 중국 관영언론들이 한국에서 일어난 부조리나 일탈 사례를 지적하며

"거봐라! 선진국인 척 하지만 한국 너희도 별 수 없지?"라는

심정을 담아 다소 과하게 보도하는 경향이 없지만 CCTV가 남 지사 부자 건을 이렇게 다룬 이유는 또 있습니다.

중국에서도 역시 '호부견자'의 사례가 부지기수인지라 그 만큼 관심이 남달랐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