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대전-1 성리대전-1 성리대전 (性理大全) 도(道)의 이치와 인간의 성리(性理)에 관한 문답 서운산 "오원자" , 유일명 원저 (오원자 진인(悟元子 眞人)과 제자와의 선학론(仙學論)) "대청건륭임인중추지야월명성희"(大淸乾隆壬寅中秋之夜月明星稀) 때는, 대청국 건륭 임인년 중추일, 월광은, 교교하..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하도와 천문 40자 간지는 천지의 經緯(경위), 하늘은 공간, 땅은 움직이는 변화 공간과 시간을 가리키며 시간과 공간의 법칙으로 정의한다. 시공은 모든 생물이 생존하는 기반이다. 時間(시간)은 변화의 상징이며, 空間(공간)은 불변의 상징이다. 이는 곧 모든 만물에는 불변하는 것과 변하는 것의 두 가지 ..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천문40자 2강의 槪要(개요) 2강은 천문 40자의 기초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천문 40자는 天干(천간) 10자, 地支(지지) 12자, 八卦(팔괘) 8자, 數理(수리) 10자의 합을 가리킨다. 천문 40자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 놓은 위대한 문화유산이다. 우리문화는 물론 인류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스크랩] 개벽병과 도통병에서 벗어나기 1. 마음을 눅혀 어린 짓을 버리라 @ 동짓달에, 광찬이 개벽을 속히 붙이지 아니하심에 불평을 품어 항상 좌석을 시끄럽게 하며 가로대 "내가 집안 일을 돌보지 아니하고 여러 햇동안 선생을 따르기는 하루바삐 새 세상을 보자는 일이어늘, 이렇게 시일만 천연함에 집에 돌아가서 처자 권속..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스크랩] 도통술 신통술 현무경에 마음을 뺏기지 말라 1. 판밖에 마음의 도통종자 하나 둔다 @ 하루는 박공우가 선생님께 여쭈어 가로대 "도통을 주시옵소서." 선생 꾸짖어 가라사대 "이것 무슨 말인고. 도통을 네가 하겠느냐. 판밖에서 도통하는 이 시간에, 생식가루를 먹고 만악천봉 돌구멍 속에 죽었는지 살았는지 내 가슴이 답답하다. 들어..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스크랩] 4강. 장구(章句)로 본 현무경 1 ② 장구(章句)로 본 현무경 현무경은 비록 1,100자에 지나지 않는 작은 경전이지만 그 어느 것보다 방대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이뤄졌습니다. 특히 현무경을 구성하고 있는 장구(章句)를 보면 그 치밀함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현무경이란 이름은 본문에 玄武經이란 표현이 있기 때문..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스크랩] 1. 현무경의 유래 - 1 1. 현무경의 유래(由來) 현무경은 서기 1,909 기유년에 후천 5만 년의 개벽주라고 하는 강증산(姜甑山)에 의해서 출현한 경전입니다. 세상에서는 증산을 가리켜 ‘상제(上帝)’ 혹은 ‘천주(天主)’라는 호칭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제라는 호칭은 무등(無等) 세상을 이루려고 하신 ..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현무경 66. 증산성사께서 기유년(己酉年1909년)) 정월 一일 사시(四時)에 현무경(玄武經) 세 벌을 종필하고 한 벌은 친히 품속에 지니고 한 벌은 도창현(道昌峴)에서 불사르고 나머지 한 벌은 경석의 집에 맡기셨도다. 현무경 1面(면) 午符(오부) (以詔章 1節) 현무경 1面(면) 午符(오부) (以詔章 1節) 益..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진리의 맥을 잡기 위한 도전 암기 성구 진리의 맥을 잡기 위한 도전 암기 성구 모음 (4관법 중심) 제1법 상제관 * 내가 천지를 주재하여 다스리되 생장염장(生長斂藏)의 이치를 쓰나니 이것을 일러 무위이화라 하느니라. (道典 4:41:4) * 나는 생장염장(生長斂藏) 사의(四義)를 쓰노니 곧 무위이화니라. (道典 2:49:1) * 이 때는 천지성..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
마테오 리치(이마두) 대성사| 선천 역사에서 가장 큰 공덕을 세운 인물 천상 신명계의 주벽신 * 이마두의 공덕을 세상 사람들이 알지 못하나 천지신명들은 그를 떠받드나니 이마두는 신명계(神明界)의 주벽(主壁)이니라. 항상 내 곁에서 나를 보좌하여 모든 것을 맡아보고 있나니 너희는 마땅히 공경할지라. (道典2:39:8~.. 삶의 휘몰이/眞理宜脈 2015.01.03